외부 세계와 우리를 이어주는 눈, 우리 눈의 첫 번째 관문인 각막은 외부 노출로 인해 손상을 입기 쉽다. 외상, 화학물질, 바이러스와 세균 모두가 각막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자칫 실명으로도 이어질 수 있어 삶의 질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각막 손상으
요즘 편의점에는 없는 게 없다. 더욱이 24시간 365일 열려있다는 특성 덕분에 급하게 필요한 물건이 생기면 편의점부터 떠올릴 정도다. 약도 마찬가지다. 약국이 문을 닫는 긴 연휴 기간이나 늦은 시간에도 편의점에 가면 손쉽게 구입할 수 있다. 그러나 약국과 편의점은 취
여기한방병원(병원장 나영철)이 박헌국 박사(신경외과 전문의)를 양방 진료원장으로 영입하면서 양한방 통합 의료 시스템 강화에 나섰다.박 박사는 미국 웨인 주립대 신경외과·경희의료원 등에서 근무했으며 세계 신경외과 학회가 수여하는 갤브레이스 어워드 수상, 서울시 우수연구역
일상생활을 하다 보면 몸이 붓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자기 전 라면 같이 짠 음식을 먹고 자서 다음날 아침에 얼굴이 붓는 경우도 있고, 때로는 몸이 부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살이 쪄서 그렇게 느끼는 경우도 있다.이처럼 일시적이고 정상적인 상태가 아니라 질환으로 인
춥거나 긴장이 되면 흔히 손이 떨리곤 한다. 떨림 증상은 손뿐만 아니라 발, 다리 등 신체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떨림의 강도도 미미한 정도에서부터 일상에 지장을 주는 정도까지 다양하다. 떨림은 이상운동질환에 속한다. 이상운동질환이란 얼굴 및 팔다리 움직임이
식사 후 극심한 피로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다. 흔한 말로 식곤증이라 하는데 대부분이 대수롭지 않게 여기며 커피 같은 각성음료에 손을 뻗는다. 하지만 식후 지나친 피로감은 질병의 신호일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음식을 섭취하면 우리의 몸은 원활한 소화를 위해 다량의
어느 날 갑자기 나에게만 들리는 소리가 생긴다면 어떨까? 또는 나만 소리를 듣지 못하게 된다면? 소리는 일상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로 이를 인지하는 능력에 오류가 생기면 큰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명과 난청은 서로 상반된 증상이지만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이명
견과류를 즐겨 먹으면 ‘행복 물질’·‘수면 물질’로 통하는 세로토닌 분비가 늘어 심혈관 건강을 도울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견과류가 아미노산의 일종인 트립토판의 대사에 영향을 미쳐 심혈관 질환의 특정 위험 인자를 줄여준다는 것이다. 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
매년 3월 둘째 주 목요일은 콩팥(신장)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예방을 위해 세계신장학회와 국제신장재단연맹(IFKF)이 정한 ‘세계 콩팥의 날’이다. 우리 몸속 노폐물과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콩팥은 고령화 시대와 함께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평소 관심이 없으면 혼동하기 쉬운 식재료가 있다. 바로 피망과 파프리카다. 생김새는 닮았지만 막상 입에 넣으면 식감이나 맛이 미묘하게 다르다. 서양에서는 ‘스위트페퍼’로 통칭하며 피망과 파프리카를 따로 구분하지 않지만, 두 식재료에는 분명한 차이점이 있다.피망(pime
쓰쓰가무시병이 알츠하이머병 치매 위험을 15%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쓰쓰가무시병에 걸린 적 있는 노인은 뇌졸중·당뇨병·중추 퇴행성 질환·우울 장애 위험도 쓰쓰가무시병이 없었던 노인보다 컸다. 7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3월 7일은 아라비아 숫자 발음과 비슷한 참치의 소비 촉진을 위해 해양수산부와 한국원양산업협회가 지정한 참치데이다. 고급스러운 참치 회를 먹지 못해도 실망할 필요는 없다. 참치는 통조림으로도 섭취할 수 있다. 오히려 통조림으로 섭취하는 게 더 좋을 수도 있다.참치는 본
나트륨은 적게, 칼륨은 많이 섭취하는 식단이 여성의 골밀도 증강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흔히 나트륨은 혈압을 올리고, 칼륨은 혈압을 낮추는 미네랄로만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뼈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6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
과거 발생률 부동의 1위 암에서 지금은 4위까지 감소한 위암은 맵고 짠 음식을 좋아하고, 잦은 음주를 즐기는 한국인들이 여전히 조심해야 하는 질환 중 하나다. 환자가 느끼는 특별한 증상이 거의 없으며, 소화불량 등 가벼운 질환으로 착각하기 쉬운 위암에 대해
본격적인 봄을 앞두고 미뤘던 운동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여러 운동 중에서 등산은 전신 체력을 기르고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좋은 운동이지만 무릎을 많이 쓰기 때문에 부상을 조심해야 한다.무릎 관절은 몸에서 가장 큰 관절 중 하나다. 무릎 관절을 이루는 반월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