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는 더 마시고 남자는 덜 마셨다…음주율의 변화

최근 12년 새 음주율이 여성은 증가, 남성은 감소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2013년 이후 식사 패턴은 육식 위주로 바뀌었다.


2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국민대 식품영양학과 백인경 교수팀이 2007~2009년, 2010~2012년, 2013~2015년,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남녀(19∼64세) 4만3175명을 대상으로 연도별 음주 상태와 주요 식사 패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 픽사베이


가장 최근인 2016~2018년 남성 음주자의 비율은 72.4%로, 2007~2009년(75.6%)보다 3%가량 감소했다. 반면 여성 음주자 비율은 41.7%에서 47.4%로 약 6% 증가했다. 고도 음주자(남성 한 자리에서 4잔 초과, 여성 2잔 초과)의 비율도 남성에서 7.5%에서 6.7%로 감소했지만, 여성은 3.8%에서 5.0%로 커졌다.


2007~2009년과 2010~2012년의 식사 패턴 조사에선 채식이 육식보다 높았지만, 2013~2015년 이후엔 육식이 더 높았다.


백 교수팀은 논문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조사연도가 최근으로 올수록 남녀 모두에서 육식 패턴이 증가했다”며 “남성의 음주량이 많을수록 채식 패턴 점수가 줄고 육식 패턴 점수가 높아졌으며, 여성의 음주량이 많아질수록 육식 패턴 점수가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채소류와 곡류 위주의 식사를 채식 패턴, 육류와 탄산음료 섭취가 많은 식사를 육류 패턴으로 분류했다.


백 교수팀은 논문에서 “지나친 음주는 정신건강·심혈관 질환·소화기 질환·암 등 여러 질병 발병 위험을 높인다”며 “음주는 전반적인 식생활에도 영향을 미쳐, 음주자는 총열량·단백질·지방 등의 섭취량이 비음주자보다 높다”고 설명했다.


한편 육식·채식 패턴 등 식사 패턴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식사를 구성하는 식품과 음료의 섭취 빈도와 섭취량뿐만 아니라 식사의 구성, 즉 식품의 조합과 다양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개인의 음식 선호도와 식습관을 반영한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