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덕진의 포켓 한의학] 여름철 과일과 한의학 1편: 참외

참외는 박과류에 속하는 1년생 식물의 열매로서 중앙아시아의 고온 건조한 지역이 원산지인 멜론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 이집트 문서에 멜론 재배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로 멜론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작물이다. 멜론은 중앙아시아, 지중해 연안에서 북유럽 및 인도로 전파·재배됐으며, 참외는 중앙아시아, 인도를 2차 중심지로 해 중국과 한국 및 일본에서 재배됐다.


▲ 반덕진 덕진한방사상체질과한의원 원장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 이전부터 참외가 재배된 것으로 추정된다. 각 지방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품종의 재래종 참외가 재배됐다. 참외는 주로 7~8월에 수확하며, 멜론의 육질과는 달리 아삭아삭하면서 당도가 높아 수박과 함께 대표적 여름철 과일로 여겨진다.

한의학에서 참외는 첨과(甛瓜), 감과(甘瓜) 등으로 한의학 서적들에 언급됐고 약재로도 활용됐다. 참외열매의 성질은 차가워 열을 내리는 데 사용된다. 동의보감에서는 “참외(열매)를 복용하면 무더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했다.

그 외에도 참외열매는 입이나 코의 부스럼을 치료하고, 팔다리의 통증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성질이 차기 때문에 평소 소화기능이 약하거나 대변이 무른 경우에는 복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참외는 열매 외에도 뿌리, 줄기, 잎, 꽃, 꼭지, 껍질, 종자까지 한약의 약재로 활용돼왔다. 참외의 줄기는 코막힘과 비염을 치료하고, 세균성 이질, 고혈압의 치료에도 사용됐다. 참외의 줄기를 복용할 때에는 오심(속 울렁거림), 구토, 설사, 복부의 불쾌감 등이 나타날 수 있기에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참외의 뿌리와 잎을 달인 물은 어루러기와 피부염에 대한 치료효과가 있으며, 주로 외용한다. 참외 잎의 즙은 외용제로 활용되면 탈모를 치료하고, 복용하면 몸의 염증을 치료한다. 참외의 씨는 위장의 염증을 치료하고 장의 점막을 촉촉하게 하며 폐의 기능을 활성화한다. 참외 껍질은 체내의 열과 갈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고 참외 껍질로 담근 물로 양치질을 하면 치통이 치료될 수 있다. 참외의 꽃은 가슴의 통증과 기침에 대한 치료효과가 있다.

참외의 꼭지는 과체(瓜蒂)라고 하며, 참외가 여물지 않았을 때 열매를 따 꼭지를 베어 그늘에 말려 사용한다. 과체는 맛이 쓰고 성질이 차며 독이 있다. 몸 안의 노폐물이 쌓여 있는 증상과 과식으로 인한 소화기 장애가 있을 경우, 이를 치료하고 수분이 과도하게 정체돼있는 증상을 치료한다.

그 외에도 황달, 팔다리가 붓는 증상, 코막힘, 급성 인후염 등에 대한 치료효과가 있다. 과체는 구토를 유발하기에 체력이 약하거나 빈혈이 있는 경우에는 복용을 피해야 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참외의 껍질, 꼭지, 잎, 종자의 추출물이 항암 효과와 항산화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특히 참외 꼭지는 항산화 효과가 다른 부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상의학에서 참외는 열이 많은 소양인과 태음인이 복용하는 것이 좋다. 소음인의 경우에는 위장이 차가운 편이므로 참외를 섭취할 경우 설사 등이 유발될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 소양인과 태음인도 장이 민감한 경우 적은 양을 먹는 것이 좋으며, 특히 씨는 빼고 복용하는 것이 좋다.


참외의 꼭지인 과체는 체내에 열과 노폐물이 쉽게 쌓이는 태음인에게 주로 활용된다. 과체는 태음인의 위장 염증을 치료하고, 가루로 내어 코로 흡입하게 하여 뇌전증, 뇌졸중 등을 치료한다. 과체는 과량복용하면 어지럼증과 설사, 탈수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기에 복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