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덕진의 포켓 한의학] 육류와 한의학 1편 - 돼지고기

우리나라 성인 1일 평균 육류 섭취량은 꾸준히 늘어 20년 사이에 2배 가까이 증가했다. 그 중 돼지고기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육류로 소비량 역시 육류 중 가장 많다. 야생돼지가 가축화 된 것은 중국의 경우에는 6천년에서 1만년 사이로 보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돼지는 동남아시아에서부터 중국 북방을 경유해 유입된 것으로 본다. 삼국지 위지동이전(三國志 魏志東夷傳)의 ‘제주도에서는 소나 돼지 기르기를 좋아한다’는 기록으로 살펴볼 때 우리나라에서는 약 2~3000년 전부터 돼지를 가축으로 길러온 것을 알 수 있다.


▲ 반덕진 덕진한방사상체질과 한의원 원장

이처럼 오랫동안 식품으로서 이용된 돼지는 한의학에서 또한 오래전부터 약으로 활용해왔다. 음식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한 예를 기록한 식료찬료(食療纂要)와 조선시대 의학지식을 집대성한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 돼지를 한의학적 치료에 사용한 많은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먼저 식료찬료에서는 돼지의 고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위를 활용하여 질병을 치료했다. 돼지고기는 땀이 노란빛을 띠는 황달이 있는 경우, 당뇨로 인해 소변을 자주 보거나 몸이 마르고 약해져 뼈속까지 열이 나는 증상이 있는 경우, 식은땀이 많이 나는 경우, 오래된 치질이 있는 경우에 주로 복용하였다. 돼지의 위는 소화기가 약해서 음식을 잘 소화시키지 못할 경우와 소아의 유뇨증에 복용했다.

돼지의 간은 눈이 약해져 먼 거리를 보기 힘든 경우, 산후에 젖이 잘 나오지 않고 속이 답답하며 아픈 경우, 소아가 오랫동안 이질을 앓은 경우에 복용했다. 돼지의 콩팥은 다리가 붓고 힘이 없는 경우, 출산 후에 속이 허하고 여위어 숨이 차고 추웠다 더웠다하는 학질이 난 경우, 출산이후 몸의 기력이 저하되고 뼈마디가 아고 두통이 있는 경우에 먹었다. 돼지의 콩팥은 산후에 소변이 저절로 흘러나올 때는 돼지의 위와 함께 복용하였다.

돼지의 발굽은 산후의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와 유즙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 유방에 종기가 난 경우에 복용했다. 그리고 돼지의 심장은 출산 후 발생하는 중풍과 혈액순환의 저하 및 감정의 기복이 심할 경우에 복용했다. 돼지의 비계는 출산 이후 태반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에 주로 활용되었다.

또한 동의보감에서는 돼지를 다음과 같이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했다. 돼지의 간은 눈이 붓거나 붉어지는 경우, 부종이 있을 경우, 설사가 심한 경우에 활용됐다. 돼지의 담낭은 눈의 염증과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을 경우에 활용됐다. 돼지의 위는 뼈에서 열이 나는 경우와 당뇨, 기력 저하 등에 활용됐다.

돼지의 콩팥은 출산 후에 땀이 그치지 않거나 난산일 경우,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 요통이 있는 경우, 허리의 통증이 있는 경우에 사용됐다. 돼지의 폐는 기침, 천식, 토혈이 있는 경우에 복용됐다. 돼지의 방광은 소아의 유뇨증이 있을 때 주로 활용됐으며 돼지의 발은 산후 기력이 약해져 유즙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나 치질이나 몸의 종기를 낫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됐다.
이렇듯 한의학에서 돼지는 치료의 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됐다.

위의 활용된 예시를 살펴보았을 때 돼지는 고기 뿐 아니라 다른 다양한 부위들이 질병 치료에 활용되어왔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증상이 있다고 일괄적으로 복용하거나 과도하게 많은 양을 복용하면 오히려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돼지를 치료의 목적으로 복용하는 경우에는 전문가의 도움과 조언을 받아 복용하는 것이 좋다.

사상의학에서 돼지는 열에너지가 많은 소양인이 자주 섭취하면 좋은 음식으로 본다. 소음인은 열에너지가 부족하고 몸이 쉽게 차가워져서 돼지고기를 섭취했을 때 위장의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태양인은 몸이 쉽게 건조해져서 육류보다는 해산물을 자주 섭취하는 것이 체질적으로 좋다. 그리고 태음인은 기름기 많은 돼지고기를 자주 섭취할 때 위장을 민감하게 만들 수 있으며, 소양인도 소화 기능이 약하거나 위장이 민감한 경우에는 기름기 많은 부분의 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