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감염병 전문가인 정재훈 가천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앞으로 1~2주 내 재유행의 정점에 도달할 수 있고, 정점 규모도 예상했던 평균 30만명 수준보다 감소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28일 정 교수는 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전문가 설명회에서 ‘재유행 기간·정점 도달 시기’를 묻는 질문에 이렇게 말했다. 그렇더라도 상당한 규모의 유행이 이어져 다음 주와 그 다음 주 정도까지는 정점을 형성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앞서 질병청과 전문가들은 이번 재유행이 다음 달 중순 이후 정점을 찍고 하루 최대 30만명대 확진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정 교수는 “전문가들이 2~3주 전 예측했던 것은 최악의 시나리오에 가까웠다. 지금은 정보의 확실성이 생긴 만큼 유행 규모가 예측보다 조금 감소할 수 있다고 생각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근거로 사항으로 4차 접종 참여가 예상보다 높고, BA.2.75(켄타우로스) 전파력이 우려보다 높지 않으며, 재감염률이 외국 대비 낮다는 점을 꼽았다. 오미크론 대유행이 외국보다 4~5주일 늦었다는 점에서 면역이 보존되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다만 정 교수는 “현재 유행이 전 세계 동시에 진행되고 있어 자료에 바탕을 둔 정확한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고, 확진자 수보다 중환자 수를 정확히 예측해 병상을 충분히 확보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고개를 들고 있는 사회적 거리두기 재도입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 효과는 인정하나, 사회적 손실을 고려해야한다는 점이 전제됐다.
정 교수는 “정책이라는 게 효과도 있지만 그 비용들이 분명 존재하는 상황이므로, 지금 사회적 거리두기의 비용보다 효과는 줄어드는 시점으로 보인다”며 오미크론 대유행 이후 백신 추가접종과 먹는 치료제로 억제한 중증화율 역시 거리두기 효용성을 낮춘다고 봤다.
이어 그는 “국가의 책임은 일률적인 거리두기를 강요하는 데만 있는 게 아닌 의료·방역대응 역량을 미리 확보하고 국민들에게 전달하는 것도 있다”며 “거리두기는 적용하지 않지만 마스크 착용, 격리의무 등 확산을 줄이기 위한 다른 수단들은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남중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최근 방역정책의 목적은 중환자·사망자 수 최소화로, 이는 고령층에서 주로 발생 한다"며 "거리두기를 하게 되면 가장 영향을 받는 그룹은 고령층이 아닌 젊은 층이다. 따라서 얻을 수 있는 이득보다 손해가 훨씬 더 크다고 생각 한다”고 했다.
김 교수는 이어 “다만 델타 변이 혹은 그 이상 버금가는 중증도를 가진 신종 변이가 나타나고 확산 속도가 빨라지면 중환자·사망자 수 최소화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재도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엄정한 기자
[email protected] -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