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면역력 강화를 돕는 단백질에 관한 대중의 관심과 소비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유청 단백질과 우유 단백질 제품 출시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해 전 세계에서 출시된 유제품 단백질을 원료로 하는 신제품 수는 식물성 단백질로 만든 신제품 수보다 3000개나 많았다.
최근 서울에서 열린 제4회 ‘유청 단백질 포럼’에서 주제 발표를 한 매일헬스 뉴트리션 연구소 박석준 소장은 “지난해 출시된 유청 단백질 신제품은 7400개를 초과하는 등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이는 2015년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유청 단백질 신제품은 2015∼2020년 새 연평균 14%의 성장률을 보였다.
전체 신제품 중 16.3%는 유청 단백질 신제품 1위 시장인 미국이 차지했다. 중국·독일·영국·브라질이 뒤를 이었다. 2020년 한국에서의 유청 단백질 신제품 출시도 2019년보다 44% 증가한 136개 제품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우유 단백질 신제품 수도 지난해 신기록을 작성했다. 전 세계적으로 9400개 이상의 제품이 출시됐다. 2015∼2020년 새 연평균 성장률은 3.7%에 그쳤다.
이 같은 유청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 신제품 관련 통계는 전 세계 식음료 업계의 신제품 출시 관련 광범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한 전문 회사(Innova Market Insights)가 낸 것이다.
최근 콩 단백질 등 식물성 단백질의 소비가 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유청 단백질 등 유제품 단백질 제품 수가 70가지 식물성 단백질 성분을 원료로 만든 제품 수보다 여전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전 세계에서 출시된 유제품 단백질을 원료로 하는 제품 수는 식물성 단백질로 만든 제품의 수보다 3000개나 많았다.
박 소장은 이 날 “유청 단백질 등 유제품 단백질 신제품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제품군(群)은 파우더·바·RTD (즉석 음료)·아기용 조제분유 등 스포츠 영양 제품 영양 식품”이며 “식물성 단백질이 사용된 제품은 대부분 육류 관련 제품”이라고 소개했다.
유제품 단백질의 활용은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등 환경 발자국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 유제품 단백질의 가공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퍼미에이트·락토스·미네랄·유청 크림 등 관련 성분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식품 산업에서 유제품 단백질은 여전히 식물성 단백질보다 더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셈이다.
박 소장은 “필수 아미노산의 권장 섭취량(RDA)에 해당하는 충분한 양의 단백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토지 이용과 온실가스 배출량은 유제품 단백질과 대부분의 식물성 단백질이 비슷한 수준”이며 “콩 단백질에서 얻는 관련 성분은 대부분 부가가치가 낮은 동물 사료용 원료로 쓰인다”고 지적했다.
영양 측면에서도 유제품 단백질은 콩 단백질보다 높은 평가를 받는다. 유제품 단백질은 모든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지만, 식물성 단백질은 대개 필수 아미노산이 하나 이상 부족하거나 몸에서 필요로 하는 양보다 부족하므로 불완전한 것으로 여겨진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정희 기자
[email protected] -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