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은 왜? 남성에게 잦을까?

인구고령화와 비만인구가 증가하고 이른바 홈술·혼술이 늘어나면서 여전히 생활 속 음주는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나친 과음은 불규칙한 생활습관을 만들고 건강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음주와 야식이 빈번한 남성이라면, 한번쯤 통풍에 대해 경계심을 가져보는 것이 좋다.


▲ 이영호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고려대학교 안안병원 제공


계속해서 늘어가고 있는 통풍 환자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간한 생활 속 질병·진료행위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통풍환자 수는 큰 폭으로 증가해 2016년 37만2710명에서 2020년 46만8083명으로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92.6%가 남성으로, 여성은 주로 폐경 이후에 증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40~50대 연령대에서 통풍환자가 가장 많은데, 최근 30대의 젊은 나이에서도 환자수가 크게 늘어 주의가 필요하다.

남성호르몬은 신장의 요산배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통풍은 주로 남성에게서 발병된다. 이와 달리 여성호르몬은 반대로 요산배출을 높이는 효과가 있어 여성의 경우 폐경기 전에 통풍이 흔하지 않다.


통풍의 원인과 증상
통풍은 체내에 요산이 너무 많이 존재해 요산이 결정체를 만들어 관절 혹은 다른 조직에 침착되어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대사성 질환이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통풍이 관절에만 오는 병인 것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요산 결정체는 관절에만 침착되는 것이 아니라 몸속 어디에나 침착되어 다양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통풍의 원인이 되는 요산은 평소 신장을 거쳐 소변을 통해 체내 밖으로 배출되며, 일정한 혈중농도를 이루는 것이 정상이다. 그러나 요산의 생성과 배출에 불균형이 생기면 고요산혈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것을 방치하게 되면 바람만 스쳐도 통증을 느낀다는 ‘통풍관절염’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인 증상은 급성통풍발작이다. 주로 엄지발가락에 증상이 나타나며 엄지발가락 이외에도 족부내측, 발목, 무릎에도 생길 수 있다. 통풍발작이 일어나면 발현 부위가 붉게 부어오르며 매우 심한 열감을 동반할 수 있다.

보통 이러한 발작은 10일 정도 지속되다가 점차 호전되지만 통증이나 증상이 없다고 치료를 중단하면 합병증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증상이 만성 결절성 통풍으로 악화되면 몸 곳곳의 요산덩어리들의 결절이 나타나면서 여러 관절에서 다발적인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

통풍의 원인, 고요산혈증
통풍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요산은 크게 두 가지 경로로 체내에 생성된다. 하나는 음식물 중 단백질에 포함돼 있는 퓨린이 분해돼 만들어지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 몸에서 파괴되는 세포에서 만들어지는 경우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요산은 대부분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설되므로 요산의 생성과 배설이 균형을 이루게 되면 혈중 요산이 정상 범위 내로 유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생성과 배설의 균형이 깨지면 요산수치가 높아지며 이른바 ‘고요산혈증’이 생길 수 있다.

성인 남자의 경우 7㎎/㎗, 여자의 경우 6㎎/㎗ 보다 요산 수치가 높을 경우, 고요산혈증으로 본다. 그러나 고요산혈증 자체는 아무런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데, 이러한 고요산혈증이 오래 지속되면 통풍관절염이 찾아올 수 있는 것이다.

퓨린이 많이 함유된 음식이나 음주를 반복하는 사람이라면 고요산혈증이 있는지 체크해보는 것이 좋다. 통풍이 찾아 온 이후에도 아무런 치료를 받지 않으면, 결국에는 만성 결절성 통풍으로 진행되어 몸의 여러 곳에 요산 덩어리로 이루어진 다양한 크기의 결절(토푸스)들이 나타나며, 극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 통풍의 합병증
처음에는 대개 한 관절만 침범하지만 만성으로 진행되면 양쪽 발가락에 관절통이 생기기도 하고 발등, 발목, 뒤꿈치, 무릎, 팔꿈치, 손목, 손가락 등으로 이동하면서 관절통이 생길 수 있다.

이 시기에는 여러 관절에 동시 다발적으로 관절염이 발생하고 그 지속기간도 길어진다. 위험한 통풍의 합병증이 나타나기 시작하므로 빠르게 가까운 병원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좋다. 주로 동반되는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1. 신장질환
요산이 배설되는 과정에 과다한 요산이 신장에 축적되면서 신장 기능이 서서히 나빠져서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여 혈액 투석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만성 신부전 뿐만 아니라 급성으로도 신장 기능이 나빠지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또한 통풍 환자의 10-25%에서는 신장, 요관, 방광에 요산으로 된 요로 결성이 생겨 혈뇨 및 극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2. 고혈압
통풍 환자 중 25~50%에서는 고혈압이 동반되고 고혈압 환자의 2~14%에서는 통풍이 동반된다. 특히 젊은 나이에 고혈압이 잘 발생되어 합병증이 많이 생길 수 있으므로 철저히 혈압을 조절해야 한다.

3. 비만
비만은 통풍과 매우 강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비만으로 인해 고요산혈증, 고혈압,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가 악화될 수 있다.

4.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
통풍 환자의 80%에서는 고지혈증이 동반되고, 통풍의 원인 물질인 요산이 혈관에도 쌓여서 동맥이 딱딱해 진다. 이로 말미암아 중풍(뇌출혈 또는 뇌경색)이 생기고, 심장병(협심증이나 심근 경색증)이 생길 수 있다.

5. 당뇨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지질혈증, 고혈압, 당 대사이상 (당뇨) 등이 동반된 질환으로 이 경우 고요산혈증이 흔히 나타난다.

- 통풍(고요산혈증)의 치료

통풍의 치료는 관절염의 재발을 방지하고 신장질환, 요로결석, 동맥경화, 중풍, 고혈압, 심장질환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꾸준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재발 및 증상악화를 예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통풍은 고혈압, 비만,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 당뇨, 뇌졸중, 신장질환, 심장질환 등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평소 과음과 과식을 피하고 충분한 수분섭취와 적절한 운동 등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으로도 예방과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통풍의 치료는 우선 급성 통풍발작을 빠르게 진정시키고 통풍발작의 재발을 예방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그래야 신장 및 다른 부위에 생기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풍에 대한 약물 치료는 치료시기에 따라 달라진다.

과거에는 요산 수치가 높으면 무조건 요산강하제를 복용하도록 했으나, 요산 수치가 높다고 다 통풍이 생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최근에 증상이 있는 경우에만 치료를 하고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치료를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급성 통풍성 관절염의 발작을 유발하는 경우는 과음, 과식, 급작스런 체중 감소, 과로, 스트레스, 수술, 약물, 교통사고나 외상을 당한 경우 등이 있다. 특히 술을 마신 후에 통풍 발작이 유발되는 경우가 가장 많으므로 통풍 환자는 반드시 금주를 해야 한다.

- 급성 통풍발작의 치료
급성 통풍 발작이 있을 때 통증과 염증을 경감시키기 위한 치료로는 콜치신,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스테로이드의 관절 내 주사를 하기도 한다.

혈중 요산 수치를 낮추는 약제인 요산 강하제는 2회 이상 급성 통풍 발작 병력이 있거나 만성 결절성 통풍이 있는 경우 사용한다. 혈중 요산 수치를 5㎎/㎗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요산 강하제를 사용할 때 갑작스런 요산 수치의 저하로 통풍발작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생활 속 통풍의 관리
통풍에서 혈중 요산에 끼치는 음식물의 영향은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퓨린이 거의 없는 무퓨린 식사를 하더라도 혈중요산은 1㎎/㎗ 정도만 내려가게 된다. 또한 퓨린이 전혀 없는 식사는 맛이 별로 없기 때문에 식단을 오랫동안 유지하기가 무척 어렵다.

따라서 극도로 절제된 식사요법 보다는 규칙적인 운동과 인스턴트 음식이 아닌 건강한 식단을 챙기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약물 치료를 계속해도 혈중 요산이 잘 내려가지 않고 자꾸 관절염이 재발하는 사람 또는 급성 증상이 있는 사람에게는 퓨린이 아주 많은 식단은 제한하는 것이 좋다.

이외에 하루에 물을 충분히 먹어서 소변의 양을 약 2ℓ 정도로 늘리는 것도 요산의 조절과 요산에 의한 신장결석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통풍이 찾아왔다면 술은 반드시 금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야 한다.

통풍환자들에게는 약주도 독이 될 수 있다?
알코올은 고요산혈증 및 통풍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통풍환자의 50%가 과도한 알코올 섭취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알코올은 요산생성증가와 요산배설감소를 통해 고요산혈증을 일으킨다. 급격한 알코올 섭취 시 알코올이 젖산으로 변환되고 젖산은 신장의 근세뇨관에서 경쟁적으로 작용해 요산의 배설을 억제하게 된다.

만성 알코올 섭취는 퓨린 생성을 증가시키고 요산 합성을 증가시킨다. 맥주는 특히 주류 중에서도 가장 많은 퓨린을 포함하고 있으며, 요산의 혈중 농도와 요산배설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맥주 이외의 다른 알코올도 고요산혈증과 통풍 발생을 증가시키므로 통풍 환자들에게 있어 금주는 불가피한 선택이다.

통풍을 예방하기 위해 피해야 할 장시간의 좌식생활
고려대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남가은 교수팀은 최근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총 1만6535명(남 7323명, 여 9212명)의 원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하루에 앉아서 지내는 시간이 5시간 이상이면 좌식시간이 이보다 짧은 사람보다 고요산혈증 위험이 1.2배 높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

긴 좌식시간과 고요산혈증 발생 위험을 높이는 정확한 이유는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다만, 좌식생활이 인슐린 저항성과 비만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 있을 것으로 추청되는데, 인슐린 저항성이 혈중 요산 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기존 연구결과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TV 시청ㆍPC 작업 등 하루에 앉아서 지내는 시간이 5시간 이상이라면 주기적인 스트레칭과 산책 등으로 고요산혈증의 위험을 낮추는 것이 좋다.


이영호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는 “맥주가 가장 많은 퓨린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맥주보다 퓨린 함량이 적은 다른 알코올 음료는 통풍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면서 “퓨린 이외에 다른 알코올 성분이 요산 배설억제와 요산 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좌식생활을 줄이고 규칙적인 운동과 식습관을 통해 통풍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라고 조언했다.

한편,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통풍을 의심해볼 수 있으며,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1. 하루 이내에 갑자기 관절이 붓고 아픈 부위를 만지면 열감이 느껴지는 경우.
2. 침범한 관절 부위의 붉은 발적.
3. 한 개의 관절만을 침범.
4. 엄지발가락이나 발목 관절이 붓고 통증.
5. 결절이 침범 관절에 보이는 경우.
6. 과거 혈액검사상 고요산혈증이 있었던 경우.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