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는 많은 가임기 여성들의 꾸준한 고민거리 중 하나다. 시작하기 전부터 생리전증후군에 시달리질 않나 시작 후에는 신체적·정신적으로 고통을 주는 생리통을 겪어야 한다. 요즘 같은 무더위에는 이러한 불편이 없는 여성들도 불쾌지수가 만땅을 친다. 때문에 임신계획이 없는 경우 이른 시기 생리가 끊겼으면 바라는 농담반 진담반의 하소연이 나오곤 하는데, 조기폐경은 생각보다 여성 건강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다.
생리는 가임기 여성이라면 필히 규칙적으로 겪어야만 하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여성의 건강 상태를 짐작할 수 있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폐경을 맞이한 후 여성은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이 감소함에 따라 여러 불편한 증상을 겪게 된다.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이 체온을 관장하는 시상하부에 영향을 끼쳐 알 수 없는 열감을 느끼기도 하고, 수면작용에 영향을 끼쳐 불면증이 생기기도 한다.
자연적인 폐경은 대개 45~55세 사이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제는 과도한 스트레스와 불균형한 생활 패턴 등으로 불규칙한 생리주기를 호소하다가 조기폐경으로 이어지는 경우다. 이때 나이는 보통의 폐경기 여성보다 훨씬 이른 40세 이전이며 이를 조기폐경이라 한다.
정확한 의학적 용어는 조기 난소 기능 부전이다. 만약 40세 이전의 연령에서 6개월 이상 생리가 없으면서 1개월 간격으로 2번 측정한 혈중 난포자극호르몬이 기준치 이상 증가한 경우 조기폐경으로 진단할 수 있다. 조기폐경은 일반적 폐경처럼 여성호르몬이 결핍된 상태이기 때문에 자연적인 폐경처럼 안면홍조, 불면증이 주로 나타나고 기분의 극심한 변화, 질의 건조감, 요실금, 성욕감퇴 증상이 발견된다.
조기폐경은 전조증상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은 불규칙한 생리 주기다. 주기가 불규칙해지고 생리 텀이 길어지는 과정을 겪으면서 완전히 폐경하게 되는 것. 유전적 요인, 갑상선 질환, 방사선치료, 항암제 사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어 특별한 예방법이 없다.
예외의 상태가 아니라면 조기폐경 진단 후 만50세까지 여성호르몬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는 골밀도 유지,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증상의 완화, 향후 임신을 위한 자궁 크기의 유지 등이다. 그러나 유방암 등의 암 발생과 심혈관질환의 증가가 보고된 바 있고, 건강상의 불이익이 있을 수 있어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 후 신중한 결정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정희 기자
[email protected] -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