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인 저출산율과 고령화에 더불어 국내 인구가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다.
지난 3일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 해 12월 말 현재 인구는 5182만 9023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2만 838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만 8천명의 인구는 강원도 양양군의 인구 2만 7천명과 비견할 만한 수치다.
전체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아시아 4위의 경제국이란 수식어가 무색하게 한국도 고령화 사회를 피하기는 어려워보인다. 현재 60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24%를 차지하면서 노인인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27만 5815명으로 10.7%(3만 2882명)나 감소했지만, 사망자 수는 30만 7764명으로 3.1%(9269명) 늘면서 자연스레 인구감소 추세로 돌아선 것이다.
인구감소에 정부의 대처에도 긴급신호가 켜졌다. 대통령 정부는 최근 임산부에게 100만 원의 장려금과 12개월 미만 아동에 대해 현금수당을 지급하는 등 더 큰 가족을 두도록 장려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영국 더 가디언지는 한국의 만성적인 저출산의 배경에는 근본적인 사회적인식이 변화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가디언지는 “2018년, 미혼이거나 결혼한 적이 없는 한국 여성의 22% 이상이 10년 전의 거의 47%에 비해 결혼하는 것이 삶의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변화는 1996년 43만4900건이었던 결혼 건수가 지난해 25만7600건으로 줄어든 것을 반영한다”라고 전했다.
현재의 추세가 지속된다면, 정부는 2067년까지 국내 인구가 인구의 46% 이상이 64세 이상이 3900만 명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상은 기자
[email protected] -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