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가서 6개월 살아보는 건 어떨까?...지역별 귀촌희망자 모집

정부가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해 최대 6개월까지 '농촌에서 살아보기' 제도를 도입한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12일 귀농·귀촌에 대한 도시민들의 관심을 반영해 정부의 지원정책을 전면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올해 귀농귀촌 예산을 342억원을 투입해 전체 89개 시군에서 약 500가구를 지원할 계획이다. 전년 대비 68.5%(139억원) 증액 편성해 기존의 영농기술교육·정보제공 등 '귀농' 중심에서 지역 일자리 교육·정보 등 '귀촌' 중심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 [자료=농림축산식품부]

참가자에게는 최장 6개월의 주거(농촌체험마을‧귀농인의집 등) 및 연수 프로그램 제공뿐 아니라 월 30만원의 연수비가 지원된다. 기존에 유지해 오던 교육과 박람회등 간접체험 중심에서 실제 장기간 관심 지역에서 살아보기를 지원하는 내용으로 전면 개편한다.

'농촌에서 살아보기'의 주요 대상을 ▲청년 구직자 ▲40대 이직 희망자 ▲5060 은퇴 예정자 등으로 설정하고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맞춤형 프로그램을 설계할 계획이다.

참여자에게는 실제 농촌 생활을 통해 지역을 이해하고, 주민 교류를 통해 지역 인맥을 쌓아 농촌 이주 두려움을 줄이고 지역 안착을 도울 방침이다.

김정희 농식품부 농업정책국장은 "코로나19 등 영향으로 귀농귀촌에 대한 도시민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며 "이런 관심과 수요가 농촌 이주 실행과 지역 안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촘촘하게 정책적‧제도적으로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지역별 모집 일정, 주요 프로그램 등 구체적인 내용은 2월 중 귀농귀촌누리집(www.returnfarm.com)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