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기기 중소기업이 다음 달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용 주사기를 대량 생산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9일 풍림파마텍이 최소주사잔량(LDS) 기술이 적용된 코로나19 백신용 주사기를 다음달 1일부터 월별 1천만 개 이상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공장 양산 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일반주사기로는 코로나19 백신 1병당 5회분까지 주사할 수 있지만 풍림파마텍 주사기로는 1병당 6회분 이상 주사할 수 있다.
중기부는 “풍림파마텍 주사기는 주사 잔량 손실을 대폭 줄여 이 주사기를 사용할 경우 코로나19 백신을 20% 추가 증산하는 효과가 있다. 기존 주사기로 1억 명에게 주사하는 백신량으로 1억 2천만 명에게 주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풍림파마텍의 백신주사기는 지난 6일, 주사 과정에서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갖춰야 하는 안전보호가드 및 주사침은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사용 허가를 받았다. 국내 기술특허 및 디자인 특허 출원은 물론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에서 국제특허 출원도 진행 중이다.
풍림파마텍은 삼성전자의 구미·광주 협력사 공장을 통해 시제품 금형 제작과 시제품 생산을 지난 연말 연휴 기간 중 4일 만에 완료했다. 현재 삼성전자는 중기부와 함께 중소기업의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풍림파마텍은 전날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주사기 긴급사용승인요청서 제출했다. 주사기는 미국 제약회사의 최소주사잔량 등에 대한 성능 테스트를 통과했고 성능 요구 조건도 충족한 상태다. 이에 따라 국내 기술특허 및 디자인 특허를 출원하고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에서 국제특허 출원도 진행 중이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상은 기자
[email protected] - 다른기사보기